봄철 건강 비타민 봄나물과 독초 구별법, 봄 식중독

이유 없이 나른하고 무기력한 봄에는 향긋한 봄나물이 당긴다. 
쌉싸름한 향과 싱그러운 봄나물은 비타민이 풍부해서 봄철 건강식에 딱이지만, 잘못 먹으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 
식약처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자연독 식중독의 상당수가 '봄'에 집중되는데 그 원인은 봄나들이가 활발해지면서 야산이나 등산로 주변에 야생 식물(독초)을 봄나물로 오인하고 채취해서 먹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고 한다. 봄나물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는 경우에는 야생 식물류를 함부로 채취하여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 
하지만 식용 가능한 봄나물 중에서도, 일부 나물은 생으로 섭취하면 독성이 있어 끓는 물이 데쳐 섭취해야한다. 
 

 
 

  • 봄나물로 오인할 수 있는 독초 구별법
  • 봄나물 섭취시 주의사항
  • 봄나물 조리 요령
  • 봄나물 영양 성분

봄나물로 오인할 수 있는 독초 구별법

독초: 박새, 여로, 동의나물, 삿갓나물, 초오(투구꽃), 미자리공, 은방울꽅, 털위, 천남성, 각시투구꽃  

식품의약품안전처

(더덕 vs 미국자리공) 도라지, 인삼 등과 비슷한 덩굴성 다년초인 ‘더덕’은 뿌리가 가로로 주름져 있지만, ‘미국자리공’의 뿌리는 주름지지 않고 매끈하며, 굵은 뿌리에서 자주색 줄기가 나오며 향기가 없다.
(우산나물 vs 삿갓나물) 독초인 ‘삿갓나물’은 뿌리를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우산나물’과 유사한 식물로, 우산나물은 잎의 가장자리가 잘게 갈라지며, 잎이 깊게 2열로 갈라진 반면, 삿갓나물은 줄기 끝에 잎의 가장자리가 갈라지지 않는다.
(곰취 vs 동의나물) 독초인 ‘동의나물’은 쌉싸름한 맛이 특징인 ‘곰취’와 오인·혼동할 수 있는데 동의나물’은 향이 없고 잎 가장자리는 둔한 톱니가 있는 반면곰취’는 이 좋으면서 잎이 부드럽고 광택이 없으며날카로운 톱니를 가지고 있다.
 (산마늘 vs 은방울꽃) 산나물 중 명이나물로 불리는 ‘산마늘’과 모습이 비슷한 ‘은방울꽃’은 독초 중의 하나로 뿌리에 독이 있어 잘못 먹으면 위험에 빠질 수 있다. 은방울꽃은 잎이 곧고 튼튼하게 뻗어 있으며 융기가 있는 것이 특징이 있으며, 산마늘은 마늘(부추) 향이 짙게 나고 줄기 하나에 2~3장의 잎이 달려 있어 구별할 수 있다.
(머위 vs 털머위) 약용이나 식용으로 이용하는 ‘머위’ 잎에는 털이 있고 부드러운 반면‘털머위’는 잎이 짙은 녹색으로 두껍고 표면에 이나며 상록성으로 갈색 털이 많다.
 

 독초 산나물 오인 섭취한 후 복통, 구토 등 이상증세가 나타난다면 반드시 병원 방문해야 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남은 독초를 함께 가져가는 것이 좋다.



봄나물 섭취시 주의사항

  • 식용 가능여부 확인: 독성이 있는 식물과 혼동하여 섭취하지 않도록 하며, 나물을 채취하거나 구입할 때는 식용 가능한지 반드시 잘 확인한다. 또한 도시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야생 봄나물은 농약, 중금속 등의 오염이 높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채취하지 말아야 한다. 
  • 올바른 조리법: 두릅, 다래순, 고사리, 원추리 등 일부 나물은 생으로 섭취하면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끓는 물에 데쳐 섭취해야 안전하다. 원추리는 성장할수록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수용성 알칼로이드 독성분이 강해지기 때문에 어린 순만 먹어야한다. 
  • 신선한 나물 선택: 냉이는 잎의 색이 연하고 뿌리가 가는 것이 좋고, 쑥은 이른 봄에 연한 것으로 채취하여 살짝 데쳐 냉동 보관하면 오래두고 활용할 수 있다. 
  • 보관 방법: 데친 나물은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며, 장기간 보관 시에는 밀폐 용기에 담아 냉동보관하면 좋다.

 

봄나물 조리 요령

  • 봄나물은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물에 3번이상 깨끗이 세척하면 잔류농약, 식중독균 등으로 부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다. 
  • 맨손으로 나물을 무칠 경우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일회용 장갑을 착용하고 조리한다.
  • 조리시 소금 대신 들깨가루를 사용하거나, 생채의 경우 소금보다는 식초를 사용하면 봄나물이 가진 본래의 향과 맛을 살리고 저나트륨식 건강요리를 즐길 수 있다. 

 
 

봄나물의 영양성분

  칼로리(kcal) 단백질(g) 칼슘(mg) 비타민A(ug,R.E) 비타민B2(mg) 비타민C(mg) 총식이섬유(g)
냉이 31 4.7 145 189 0.32 74 5.7
달래 27 3.3 124 3 0.14 33 4.2
돌나물 11 1.3 124 120 0.06 26 1.1
두릅 21 3.7 15 67 0.25 15 1.4
68 5.3 230 563 0.32 33 8.6
씀바귀 39 2.9 74 305 0.31 7 6.6
원추리 35 2.7 19 89 0.08 39 52.4
참나물(야생) 33 3.5 102 963 0.32 15 -
참나물(곰취) 37 2.9 241 780 0.50 28 -
취나물(참취) 31 3.3 124 594 0.10 14 5.8

※ 자료출처 <국가표준식품성분표(2011), 국립농업과학원>

 

안전하게 섭취하는 봄나물은 누구보다 건강하게 봄을 맞이하는 비밀 무기가 될 수 있다.